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최신 정보와 이민을 위한 비교 2025년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최신 정보와 이민을 위한 비교 2025년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74)
    • 호주 (62)
    • 캐나다 (47)
    • 뉴질랜드 (65)

검색 레이어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최신 정보와 이민을 위한 비교 2025년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노예

  • 유엔, 캐나다 외국인 노동자 프로그램에 대해 새로운 형태의 노예제도라고 비판

    2024.08.30 by 21세기 한인 블로거

  • 캐나다, 영주권자와 임시 외국인 근로자 수 축소

    2024.08.29 by 21세기 한인 블로거

  • 현대판 노예가 되기 위해 돈까지 지불?

    2023.08.24 by 21세기 한인 블로거

  • 뉴질랜드 국민당, 값싼 노동력을 해외에서 도입하는 정책 발표

    2023.04.20 by 21세기 한인 블로거

유엔, 캐나다 외국인 노동자 프로그램에 대해 새로운 형태의 노예제도라고 비판

"임금 도둑질, 과도한 근무 시간, 제한된 휴식 시간, 신체적 학대."유엔의 현대판 노예제 특별보고관의 최종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의 임시 외국인 노동자들이 학대를 당하는 방식은 이러한 것들 중 일부에 불과합니다.토모야 오보카타 특별보고관은 지난해 캐나다를 방문한 후의 발언을 되풀이하면서 임시 외국인 근로자 프로그램을 “현대판 노예제도의 온상”이라고 불렀습니다.영국 요크 대학교의 국제인권법 교수인 오보카타는 최종 보고서에서 노동자들이 저임금과 보호 장비 없이 일하고, 고용주가 문서를 압수하고, 근무 시간을 임의로 단축하고, 노동자들이 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하도록 막는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말합니다.“여성들은 성희롱, 착취, 학대를 신고했습니다."라고 보고서는 말합니다.“또한 경찰은 불만을 진지하게 받아들이..

캐나다 2024. 8. 30. 04:26

캐나다, 영주권자와 임시 외국인 근로자 수 축소

저스틴 트뤼도 총리는 캐나다에 들어오는 저임금 임시 외국인 근로자와 영주권자의 수를 줄일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급속한 인구증가가 주택과 의료와 같은 공공 서비스에 부담을 주고 있다는  경제학자들 주장도 이런 정책 변경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연방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캐나다 인구 증가의 대부분(약 97%)이 이민에 의해 주도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트뤼도 총리와 그의 정부는 서비스나 주택 건설을 강화하지 않고 이민을 늘렸다는 비판을 받아왔습니다.동시에 캐나다의 실업률은 지난 두 달 동안 6.4%로 증가했으며, 전국적으로 140만 명이 실직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는 “좋은 일자리를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캐나다인에게는 불공평하고, 학대와 착취를 당하고 있는 임시 외국인 근로자들에게도 불공평하다”고 말했습..

캐나다 2024. 8. 29. 07:58

현대판 노예가 되기 위해 돈까지 지불?

뉴질랜드에서는 임시 이주 노동자에 대한 착취 문제가 계속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난 한 주 동안 몇 가지 충격적인 착취 사례와 공인 고용주 취업 비자(AEWV) 제도의 남용 사례가 언론에 크게 보도되었습니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일부 이민자들은 에이전트에게 거액의 돈을 지불했지만 뉴질랜드에 도착한 후 일자리가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또는 일을 시작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계약이 해지되거나 고용주에게 추가 비용을 지불하라는 요청을 받았습니다. 또한 고용주는 이주 근로자에게 주당 최소 30시간의 근무 시간을 보장하고 시간당 뉴질랜드 평균 임금인 29.66달러 이상을 지급해야 합니다. 고용주는 해외 에이전트와 협력하여 채용을 대행합니다. 이민자에게는 최대 3년..

뉴질랜드 2023. 8. 24. 12:15

뉴질랜드 국민당, 값싼 노동력을 해외에서 도입하는 정책 발표

국민당의 이런 이민 개혁안은 인권을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는 값싼 노동력을 해외에서 데려와 의존했던 코로나 이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려는 시도라는 지적이 있습니다. 국민당이 집권하던 시절 일부는 영주권으로 전환할 기회도 없이 고용주에게 묶여 최대 10년까지 체류했습니다. 워크비자를 노예계약처럼 생각하는 악덕 고용주도 많이 있었지만 제대로 처벌되지 않았습니다. 코로나 이후 임시 비자로 입국하는 근로자 수는 이미 코로나 이전 입국자 수(월 2만명)를 넘어섰으며, 연간 약 25만 명에 달합니다. 30만 명의 근로자가 어떤 형태로든 임시 비자로 입국했습니다. 노동당 정부는 20만 명에게 거주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습니다. 또한 노동자를 수입하기 위해 최소 시간당 30달러의 중위 임금을 지불해야 하는 새로운 공인..

뉴질랜드 2023. 4. 20. 05:3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최신 정보와 이민을 위한 비교 2025년 © 21세기 한인 블로거

티스토리툴바